도예 활동에서의 배려‧협력 학기 초에는 타인에게 도움을 받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고 있던 학습자도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모둠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바자회 활동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바자회를 준비하는 전 과정은 개인이 독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부서별로 충분한 회의를 통해 의사결정을 내리고...
도예 작품제작과 감상 과정에서의 의사소통능력 본 연구에서의 전 차시 활동이 프로젝트 수업 모형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학생들이 서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상호작용을...
자기주도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능력 본 연구는 학습자가 스스로 준비하고 계획하며 실행으로 옮기는 학생 중심의 프로젝트 학습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연구의 전...
도예교육과 바자회 프로그램에서의 사회성 함양 사회성이 초기에는 사회과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개념으로 간주되었으나 근래에 들어 예술교과에서도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성의 개념 사회성(Sociability)은 인간이 공동체 생활을 시작하게 되면서부터 오랜 기간 인간 사회에 필수적인 능력으로 간주 되었다. 칸트는 한 인간과 다른...
바자회의 교육적 특징 물건을 사고파는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바자회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공동모금을 목표로 한다. 바자회에서는 자선사업의...
바자회의 개념 바자회는 공공 또는 사회사업의 자금을 모으기 위하여 벌이는 시장이라는 뜻의 페르시아어 ‘Bazar’에서 유래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바자회 개념은 프리마켓(Free...
도예의 교육적 의의 도예를 도자공예와 도자예술로 해석하는 두 가지 관점이 있다. 도자공예의 준말로 도예를 바라보는 시각에서는 “흙을 주재료로 표현하며 적절한...